●이사전의 흉몽과 액운 비방법
짐승들이 나가는 꿈.독충·벌레가 들어와서 징그럽게 느껴지는 꿈.어린아이·갓난아이가 보이는 꿈.짐을 싣고 밖으로 나가는 꿈. 노인이 방안에 앉아 있는 꿈.빗질하는 꿈.옷가지를 보따리에 싸는 꿈. 싸우는 꿈. 물끄러미 쳐다보는 꿈. 종교인이 보이는 꿈.흰옷검은옷을 입은 자가 보이는 꿈.젊은 여인남성이 방에 있는 꿈 등은 흉몽이다.
액운 비방법으로 꿈 내용을 종이에 그림·글로 적어 탱자나무 가시나 바늘 네 개를 한데 싸서 둘둘 말아 부뚜막(조왕)에서 불 태우며 "동방에 광명이 비쳤으니 간밤의 흉몽은 모두 사라져라" 주문을 외우고 태운 재를 쓸어담아 집밖에 뿌린다.
또한 하는 일이 잘 안된다. 가출자가 생긴다. 질고가 그치지 않는다. 노력해도 실패의 연속이다. 부부싸움이 심하다. 서로 바람을 피운다. 염세적 생각이 든다. 정신적 고통이 생긴다. 이사한지 3년이 지나도 큰 탈은 없지만 저축도 안되고 노력의 대가가 없으며 씀씀이가 헤퍼지고 사업의 진보가 없다. 이런 경우 이사하는 것이 상책이다. 무슨 일이 막히면 개운의 방법은 이사 뿐이다. 집이 본인과 맞으면 대개 일년이 지나면 운이 틔고 복이 닥친다. 빠르면 석달 후부터 발복한다. 보통 한집에서 칠년 이상 살지 않는다. 본인의 집일 때는 칠년마다 집수리로 환경을 바꾸면 좋다. 이사비용 아끼는 것이 어리석음이다. 어리석음을 깨치는 것도 전생에 지은 인연공덕 때문이다.
●이사전의 길몽과 이사하면 좋은 집
용이나 큰 뱀이 집으로 들어오는 꿈. 거북이나 학이 보이는 꿈. 빨래하는 꿈. 물이 넘치는 꿈. 불이 나서 모두 타는 집. 새 집을 짓는 꿈. 쌀이 넘치는 꿈. 목욕하는 꿈. 무슨 물건이든 집으로 가지고 오는 꿈. 가축이 물건을 물고 들어오는 꿈은 길몽이다.
이런 꿈을 흰종이에 붉은 연필로 그린 다음 복숭아 동쪽 가지나 버드나무 가지를 10㎝ 정도 잘라 일곱 개를 준비해서 그림 그린 종이에 돌돌 말아 쌀통·뒤주 속에 파묻어 놓는다. 이사갈 때까지 버리지 말고 누구에게도 말하면 안된다. 집안이 부유해지고 사업이 번창해지리라.
또한 살던 사람이 건강하고 화목한 집. 재수가 좋아 돈을 모으고 집을 사서 나간 집. 자식들이 출세한 집. 사람들의 왕래가 많은 집. 장사가 잘되는 집. 사용하기 좋은 집. 사방이 막힘이 없는 집. 병치레가 없는 집. 노부부가 자식들과 오랫동안 살던 집. 방범시설이 잘 된 집으로 이사를 가면 우환질고가 없으리라. 좋은 집에 사는 것도 전생에 지은 공덕 때문이다.
●흉가로 이사갈 때의 비방법
①망해나간 집: 전생에 거지로 객사죽음 당한 귀신이 눌러 앉아 앙갚음하기에 실패수가 따른다. 이삿짐이 들어가기 전에 쌀 한줌을 집안에 힘껏 뿌리면서 "객사귀신 물러가라" 외친 후 쌀을 깨끗이 쓸어 집밖에서 태운 다음 방안에 약쑥을 태워 연기가 자욱해지면 환기시키고 이삿짐을 넣는다.
②질병이 그칠 날 없는 집: 전생에 의술하다 실수로 많은 사람을 죽인 죄로 천도되지 않고 구천을 떠도는 귀신이 자리잡고 있으니 달래야 한다. 병자의 옷을 집안에서 불로 태우고 환기시킨 후 다시 약쑥을 태운다. 병자의 옷을 가지고 나올 때 병자나 가족이 몰라야 한다.
③무섭게 느껴지는 집: 살인자나 기타 사악한 귀신이 자리잡고 있으니 팥 한 되를 집 전체에 뿌리고 기독교인은 十, 불교인·무신론자는 卍를 붉은색으로 네 장 그려 대문·방·부엌·변소에 한 장 씩 붙이고, 그 위에 다른 종이를 붙여 남이 알아보지 못하게 한다. 대문이 없으면 현관문 위나 액자 뒤에 붙이고 팥죽을 쑤어 집의 사방에 뿌리고 하루가 지난 다음 청소하면 귀신의 장난이 없어진다.
④이사 때 운수대통법: 흰종이에 붉은 글씨로 '만년청(萬年靑)'이라 써서 살던 집 지붕·천정 속에 구멍을 뚫어 넣고 가면 이사가는 사람이나 이사들어 오는 사람 모두 재수가 좋고 병자는 쾌차하며 무슨 일이든 잘 풀린다. 가장 쉬운 방법이다.
⑤이사 때 재액 예방법: 안주인이 이삿짐이 들어오기 전에 팥을 안팎 구석구석에 뿌린 다음 안방 아랫목에 요강을 들여놓고 밥상을 큰방 가운데 편다. 쌀 한그릇 물 한사발 밥상에 올리고, 동서남북 사방으로 합장재배 후 집안과 자신의 소원을 빌고 이사짐을 들인다. 이삿날 저녁 팥죽을 끓여 사방에 뿌리고 식구들이 먹으면 아무 액난이 없다.
●이사방위와 날짜잡기
①대장군방위
동토가 생기고 이사에 불길한 방위이다.그 해의 간지로 본다.
·인(범)·묘(토끼)·진(용)해에는 자방인 정북쪽.
·사(뱀)·오(말)·미(양)해에는 묘방인 정동쪽.
·신(원숭이)·유(닭)·술(개)해에는 오방인 정남쪽.
·해(돼지)·자(쥐)·축(소)년이면 유방인 정서쪽.
②삼살방위
집수리·이사에 불길한 방위이다. 이사하는 해의 간지로 본다
·신(원숭이)·자(쥐)·진(용) 해에는 오·사·미방(남쪽).
·해(돼지)·묘(토끼)·미(양) 해에는 신·유·술방(서쪽)
·인(범)·오(말)·술(개) 해에는 해·자·축방(북쪽)
·사(뱀)·유(닭)·축(소) 해에는 인·묘·진방(동쪽)
③태백살방위
일명 손이 있는 방위이다. 이사하는 날의 방향을 본다.
태백살을 피한 날을 택해 이사하면 된다.
·1일, 11일, 21일은 정동쪽 ·2일, 12일, 22일은 동남쪽
·3일, 13일, 23일은 정남쪽 ·4일, 14일, 24일은 서남쪽
·5일, 15일, 25일은 정서쪽 ·6일, 16일, 26일은 서북쪽
·7일, 17일, 27일은 정북쪽 ·8일, 18일, 28일은 북동쪽 ▶9일, 19일, 29일은 중앙에 손이 있으니 이사해도 좋다.
▶10일, 20일, 30일은 하늘에 손이 있으니 이사해도 좋다.
●이사 풍습
우리의 이사 풍습은 매우 다양했다. 먼저 날수에 따라 이사방위를 돌아다니며 사람들의 활동을 방해하는 손(귀신) 없는 방위와 일진을 보아 길일을 택했다. 귀신을 손이라 했던 것은 궁핍한 시대에 집으로 찾아오는 손님이 반가우면서도 한편 대접할 것이 없어 고민했던 데 연유한다. 천연두를 손님·마마라 했던 것도 마찬가지이다. 아무튼 음력 9·10일, 그믐날 이사하면 손이 없고, 음력 윤달도 아무런 재액이 없다. 이런 손 없는 길일을 지관·무당·점장이·스님들에게 물어 잡았다. 한 마음 끄달리지 말고 초월하면 될텐데….
·귀신이 따라 오지 못하게 살던 집의 네 귀퉁이에 짚불을 놓았다.
·요강은 부정을 억누르기에 솥 안에 넣어 갔다.
·큰방에 밥솥을 먼저 들여놓았다. 일단 솥을 걸면 이사한 것으로 간주했기에 솥을 거는 날도 길일을 택했다.
·밥그릇에 쌀을 담고 가운데 촛불을 켜 요강 안에 넣어 큰방 한 가운데 둔다.풍년과 가운의 융성함을 비는 의미이다.
.이사갈 때 대문 앞에 소금을 뿌린다. 소금 자루는 맨 마지막에 가지고 오고, 이사 와서는 맨 먼저 가지고 들어간다.
·이사갈 때 떡을 해서 농 안에 넣어간다. 또한 귀신이 못 따라오게 장롱 밑에 붉은 색의 왕(王)자를 써 붙여간다.
·복이 따라오게 살던 집의 문구멍을 찢거나 방문을 열어놓고 간다.
·이삿날 들어갈 집의 대문·마당·부엌·방·곳간·변소·우물 등에 쌀·보리·밀·콩·팥 등을 함께 볶아서 뿌린다.
·쑥은 악귀를 쫓기에 이사한 집의 방에 약쑥을 태우거나 방문과대문에 매달기도 한다.
·부정·잡귀를 몰아내기 위해 바가지에 물을 떠서 고추·숯·소금을 넣고 이사 온 집의 부엌 바닥에다 둔다.
·홍두깨로 밀·쌀의 반죽을 넓게 펴기에 기풍(祈豊)·축귀(逐鬼)를 위해 이사한 집의 큰방에 홍두깨를 놓는다.
·복을 쓸어내면 안되기에 방을 쓸지도 않고 못쓰는 물건·쓰레기·빗자루 등은 그냥 두고 간다.
·이사 들어가는 시각은 아침해가 떠오르는 때가 좋다.
·빈손으로 들어가지 않고 돈,곡식,베 등을 들고 들어간다. ·찬밥은 가난을 뜻하므로 이사갈 때 가지고 가지 않는다.
·신 음식은 집안이 망할 징조라 하여 식초병은 가져가지 않는다.
·곡식을 부수듯 복까지 파괴할까 싶어 맷돌도 가지고 가지 않는다. 이사한 뒤 밤중에 살짝 들여놓는다.
·이사갈 때 그릇과 거울 등을 깨뜨리지 않는다.
·집 뒤로 이사 가면 가업이 퇴보하기에 집 뒤로 이사를 가지 않 고 집을 물려 앉히지도 않았다.
우리의 이사풍습은 미신이 아니다. 살림살이의 경책이다.
<민속신앙에서>
짐승들이 나가는 꿈.독충·벌레가 들어와서 징그럽게 느껴지는 꿈.어린아이·갓난아이가 보이는 꿈.짐을 싣고 밖으로 나가는 꿈. 노인이 방안에 앉아 있는 꿈.빗질하는 꿈.옷가지를 보따리에 싸는 꿈. 싸우는 꿈. 물끄러미 쳐다보는 꿈. 종교인이 보이는 꿈.흰옷검은옷을 입은 자가 보이는 꿈.젊은 여인남성이 방에 있는 꿈 등은 흉몽이다.
액운 비방법으로 꿈 내용을 종이에 그림·글로 적어 탱자나무 가시나 바늘 네 개를 한데 싸서 둘둘 말아 부뚜막(조왕)에서 불 태우며 "동방에 광명이 비쳤으니 간밤의 흉몽은 모두 사라져라" 주문을 외우고 태운 재를 쓸어담아 집밖에 뿌린다.
또한 하는 일이 잘 안된다. 가출자가 생긴다. 질고가 그치지 않는다. 노력해도 실패의 연속이다. 부부싸움이 심하다. 서로 바람을 피운다. 염세적 생각이 든다. 정신적 고통이 생긴다. 이사한지 3년이 지나도 큰 탈은 없지만 저축도 안되고 노력의 대가가 없으며 씀씀이가 헤퍼지고 사업의 진보가 없다. 이런 경우 이사하는 것이 상책이다. 무슨 일이 막히면 개운의 방법은 이사 뿐이다. 집이 본인과 맞으면 대개 일년이 지나면 운이 틔고 복이 닥친다. 빠르면 석달 후부터 발복한다. 보통 한집에서 칠년 이상 살지 않는다. 본인의 집일 때는 칠년마다 집수리로 환경을 바꾸면 좋다. 이사비용 아끼는 것이 어리석음이다. 어리석음을 깨치는 것도 전생에 지은 인연공덕 때문이다.
●이사전의 길몽과 이사하면 좋은 집
용이나 큰 뱀이 집으로 들어오는 꿈. 거북이나 학이 보이는 꿈. 빨래하는 꿈. 물이 넘치는 꿈. 불이 나서 모두 타는 집. 새 집을 짓는 꿈. 쌀이 넘치는 꿈. 목욕하는 꿈. 무슨 물건이든 집으로 가지고 오는 꿈. 가축이 물건을 물고 들어오는 꿈은 길몽이다.
이런 꿈을 흰종이에 붉은 연필로 그린 다음 복숭아 동쪽 가지나 버드나무 가지를 10㎝ 정도 잘라 일곱 개를 준비해서 그림 그린 종이에 돌돌 말아 쌀통·뒤주 속에 파묻어 놓는다. 이사갈 때까지 버리지 말고 누구에게도 말하면 안된다. 집안이 부유해지고 사업이 번창해지리라.
또한 살던 사람이 건강하고 화목한 집. 재수가 좋아 돈을 모으고 집을 사서 나간 집. 자식들이 출세한 집. 사람들의 왕래가 많은 집. 장사가 잘되는 집. 사용하기 좋은 집. 사방이 막힘이 없는 집. 병치레가 없는 집. 노부부가 자식들과 오랫동안 살던 집. 방범시설이 잘 된 집으로 이사를 가면 우환질고가 없으리라. 좋은 집에 사는 것도 전생에 지은 공덕 때문이다.
●흉가로 이사갈 때의 비방법
①망해나간 집: 전생에 거지로 객사죽음 당한 귀신이 눌러 앉아 앙갚음하기에 실패수가 따른다. 이삿짐이 들어가기 전에 쌀 한줌을 집안에 힘껏 뿌리면서 "객사귀신 물러가라" 외친 후 쌀을 깨끗이 쓸어 집밖에서 태운 다음 방안에 약쑥을 태워 연기가 자욱해지면 환기시키고 이삿짐을 넣는다.
②질병이 그칠 날 없는 집: 전생에 의술하다 실수로 많은 사람을 죽인 죄로 천도되지 않고 구천을 떠도는 귀신이 자리잡고 있으니 달래야 한다. 병자의 옷을 집안에서 불로 태우고 환기시킨 후 다시 약쑥을 태운다. 병자의 옷을 가지고 나올 때 병자나 가족이 몰라야 한다.
③무섭게 느껴지는 집: 살인자나 기타 사악한 귀신이 자리잡고 있으니 팥 한 되를 집 전체에 뿌리고 기독교인은 十, 불교인·무신론자는 卍를 붉은색으로 네 장 그려 대문·방·부엌·변소에 한 장 씩 붙이고, 그 위에 다른 종이를 붙여 남이 알아보지 못하게 한다. 대문이 없으면 현관문 위나 액자 뒤에 붙이고 팥죽을 쑤어 집의 사방에 뿌리고 하루가 지난 다음 청소하면 귀신의 장난이 없어진다.
④이사 때 운수대통법: 흰종이에 붉은 글씨로 '만년청(萬年靑)'이라 써서 살던 집 지붕·천정 속에 구멍을 뚫어 넣고 가면 이사가는 사람이나 이사들어 오는 사람 모두 재수가 좋고 병자는 쾌차하며 무슨 일이든 잘 풀린다. 가장 쉬운 방법이다.
⑤이사 때 재액 예방법: 안주인이 이삿짐이 들어오기 전에 팥을 안팎 구석구석에 뿌린 다음 안방 아랫목에 요강을 들여놓고 밥상을 큰방 가운데 편다. 쌀 한그릇 물 한사발 밥상에 올리고, 동서남북 사방으로 합장재배 후 집안과 자신의 소원을 빌고 이사짐을 들인다. 이삿날 저녁 팥죽을 끓여 사방에 뿌리고 식구들이 먹으면 아무 액난이 없다.
●이사방위와 날짜잡기
①대장군방위
동토가 생기고 이사에 불길한 방위이다.그 해의 간지로 본다.
·인(범)·묘(토끼)·진(용)해에는 자방인 정북쪽.
·사(뱀)·오(말)·미(양)해에는 묘방인 정동쪽.
·신(원숭이)·유(닭)·술(개)해에는 오방인 정남쪽.
·해(돼지)·자(쥐)·축(소)년이면 유방인 정서쪽.
②삼살방위
집수리·이사에 불길한 방위이다. 이사하는 해의 간지로 본다
·신(원숭이)·자(쥐)·진(용) 해에는 오·사·미방(남쪽).
·해(돼지)·묘(토끼)·미(양) 해에는 신·유·술방(서쪽)
·인(범)·오(말)·술(개) 해에는 해·자·축방(북쪽)
·사(뱀)·유(닭)·축(소) 해에는 인·묘·진방(동쪽)
③태백살방위
일명 손이 있는 방위이다. 이사하는 날의 방향을 본다.
태백살을 피한 날을 택해 이사하면 된다.
·1일, 11일, 21일은 정동쪽 ·2일, 12일, 22일은 동남쪽
·3일, 13일, 23일은 정남쪽 ·4일, 14일, 24일은 서남쪽
·5일, 15일, 25일은 정서쪽 ·6일, 16일, 26일은 서북쪽
·7일, 17일, 27일은 정북쪽 ·8일, 18일, 28일은 북동쪽 ▶9일, 19일, 29일은 중앙에 손이 있으니 이사해도 좋다.
▶10일, 20일, 30일은 하늘에 손이 있으니 이사해도 좋다.
●이사 풍습
우리의 이사 풍습은 매우 다양했다. 먼저 날수에 따라 이사방위를 돌아다니며 사람들의 활동을 방해하는 손(귀신) 없는 방위와 일진을 보아 길일을 택했다. 귀신을 손이라 했던 것은 궁핍한 시대에 집으로 찾아오는 손님이 반가우면서도 한편 대접할 것이 없어 고민했던 데 연유한다. 천연두를 손님·마마라 했던 것도 마찬가지이다. 아무튼 음력 9·10일, 그믐날 이사하면 손이 없고, 음력 윤달도 아무런 재액이 없다. 이런 손 없는 길일을 지관·무당·점장이·스님들에게 물어 잡았다. 한 마음 끄달리지 말고 초월하면 될텐데….
·귀신이 따라 오지 못하게 살던 집의 네 귀퉁이에 짚불을 놓았다.
·요강은 부정을 억누르기에 솥 안에 넣어 갔다.
·큰방에 밥솥을 먼저 들여놓았다. 일단 솥을 걸면 이사한 것으로 간주했기에 솥을 거는 날도 길일을 택했다.
·밥그릇에 쌀을 담고 가운데 촛불을 켜 요강 안에 넣어 큰방 한 가운데 둔다.풍년과 가운의 융성함을 비는 의미이다.
.이사갈 때 대문 앞에 소금을 뿌린다. 소금 자루는 맨 마지막에 가지고 오고, 이사 와서는 맨 먼저 가지고 들어간다.
·이사갈 때 떡을 해서 농 안에 넣어간다. 또한 귀신이 못 따라오게 장롱 밑에 붉은 색의 왕(王)자를 써 붙여간다.
·복이 따라오게 살던 집의 문구멍을 찢거나 방문을 열어놓고 간다.
·이삿날 들어갈 집의 대문·마당·부엌·방·곳간·변소·우물 등에 쌀·보리·밀·콩·팥 등을 함께 볶아서 뿌린다.
·쑥은 악귀를 쫓기에 이사한 집의 방에 약쑥을 태우거나 방문과대문에 매달기도 한다.
·부정·잡귀를 몰아내기 위해 바가지에 물을 떠서 고추·숯·소금을 넣고 이사 온 집의 부엌 바닥에다 둔다.
·홍두깨로 밀·쌀의 반죽을 넓게 펴기에 기풍(祈豊)·축귀(逐鬼)를 위해 이사한 집의 큰방에 홍두깨를 놓는다.
·복을 쓸어내면 안되기에 방을 쓸지도 않고 못쓰는 물건·쓰레기·빗자루 등은 그냥 두고 간다.
·이사 들어가는 시각은 아침해가 떠오르는 때가 좋다.
·빈손으로 들어가지 않고 돈,곡식,베 등을 들고 들어간다. ·찬밥은 가난을 뜻하므로 이사갈 때 가지고 가지 않는다.
·신 음식은 집안이 망할 징조라 하여 식초병은 가져가지 않는다.
·곡식을 부수듯 복까지 파괴할까 싶어 맷돌도 가지고 가지 않는다. 이사한 뒤 밤중에 살짝 들여놓는다.
·이사갈 때 그릇과 거울 등을 깨뜨리지 않는다.
·집 뒤로 이사 가면 가업이 퇴보하기에 집 뒤로 이사를 가지 않 고 집을 물려 앉히지도 않았다.
우리의 이사풍습은 미신이 아니다. 살림살이의 경책이다.
<민속신앙에서>
'생활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플때 눌러주세요~~ (0) | 2009.09.23 |
---|---|
◑체질따라 증상따라 마시는 차◐ (0) | 2009.06.02 |
알아두면 좋은 생활예절..☆ (0) | 2008.09.15 |
탕수육소스만들기 (0) | 2008.09.05 |
함께 먹으면 절대 안 되는 상극 음식 (0) | 2008.05.30 |
쌀뜨물로 할수 있는 12가지 (0) | 2008.05.24 |